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다양한TIP)400

2023년 7월부터 바뀌는 영화,택시,면세점,지하철,주정차,벌금 정책 2023년 7월부터 바뀌는 영화,택시,면세점,지하철,주정차,벌금 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바뀌는 정책은 우리에게 실질적인 이익적인 부분도 있고, 모르면 손해보는 부분도 있으니 잘 참고하여 우리의 이익에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1.영화관람료 소득공제 적용 2023년 7월부터 영화관람료가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게 됩니다. 연 7000만원 이하 근로자는 (300만원/년) 한도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율은 30%이며, 영화 관람 시 팝콘, 핫도그, 주차비는 공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시간영화예매순위 2.온라인 면세점 주류구입 7월 1일부터 국세청은 주류 통신판매에 대한 제도 변경을 하면서 온라인 면세점에서 주류를 구매할 수 있게.. 2023. 7. 12.
경기여성취업지원금 신청방법 및 요건, 지원금 사용처알아보기 경기여성취업지원금이란? 경기도에서는 구직의사가 있는 도내 미 취업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여성취업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2차 모집에서는 작년에 비해 30만 원이 늘어난 120만 원까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신청방법 및 요건, 지원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경기여성취업지원금 2차 모집기간 2023년 경기여성취업지원금 2차 모집기간은 5월 31일부터 6월 20일(18:00)까지로 약 1,700명을 선발합니다. 신청자는 취업지원금(40만 원 x3개월)과 조기취창업성공금(40만 원)을합산하여 최대 12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은 주소지 시,군의 지역화폐로 이루어지며, 추가로 취업지원프로그램도 제공됩니다. 신청자격 및 요건 경기여성취업지원금을 신청하기 .. 2023. 6. 2.
한전 에너지 캐시백 바우처 캐쉬백으로 전기요금 부담 완화하기 한전과 한국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의 적자난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특히 에너지 수입 가격의 급등은 한전과 한국가스공사를 직격탄으로 삼았습니다. 이에 정부는 작년 말부터 2026년까지 4년 동안 요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한전과 한국가스공사의 경영 정상화를 도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기요금인상과 계산방법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전기요금을 kWh당 8원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전부터 전기가스요금을 조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부터 누적된 요금인상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전기요금인상이불가 피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4인가구의 한 달 전력사용량이 332㎾h라고가정할 경우, 올해 초와 비교하여 월전기 요금이 약 3,000원 늘어나게 됩니다. 전기세계산방법과 전기세.. 2023. 5. 29.
2023년 5월부터 변경되는 실업급여 제도 정부는 2023년 5월부터 반복 및 부정 수급에 따른 적자를 탈피하기 위해 구직활동 요건을 강화하고 최소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변경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새로이 도입되는 실업급여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제도란? 실업급여제도란? 근로자 가고 용보험에 가입되어 근로하다가 일자리를 잃었을 때, 일정한 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로, 쉽게 말해"갑작스러운 퇴사를 했을 때 재취업활동기간 동안소정의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재취업 활동 횟수 및 범위 실업급여 수급자는 매 4주 단위로 한 번 이상, 재취업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실업급여수급조건 실업급여수급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로계약 종료의 의사와 근로조건의 변경 등으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일을 잃은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하였으며, 가입 기간 .. 2023. 5. 26.
청년도약계좌: 젊은 세대의 미래를 향한 도약을 응원하는 저축 상품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을 위한 저축 상품으로, 5년의 만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상품은 가입자가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 청년들의 저축 의지와 능력을 지원합니다. 이에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혜택 및 수령 가능 금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가입자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또한 개인소득 기준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개인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의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이 결정되며, 가구소득은 중위 소득의 180%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80% 1인 3,740,205원 2인 5,351,469원 3인 6,793,778원 4인 8,107,358원 5인 9,322,272원 6인 10,473,011원 청년도약계좌 혜.. 2023. 5. 24.
전월세 신고제: 임대차 계약의 의무와 신고 방법 정부는 전월세 신고제의 계도기간이 이달 말로 종료되면서 다음 달부터 신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임대인과 임차인에게 과태료 부과를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이에 전월세 신고제에 대해 다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전월세 신고제란? 전월세 신고제란? 2020년 7월 31일에 통과된 '임대차 3 법'의 일환으로, 전세 보증금이 6천만 원을 초과하거나 월세가 3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임대인과 임차인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계약 내용을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임대차 계약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부동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전월세 신고의 대상과 세부내용 전월세신고제의대상 지역은 수도권전역, 광역시, 세종시, 제주시 및 도의 시지역으로 한정됩니다. 대상주택은단.. 2023.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