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가구 폐의약품 버리는 법 (약국/보건소 기준)
“약 버릴 데가 없다?” 집에 쌓인 유효기간 지난 약,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1인가구라면 특히 폐의약품 처리에 고민이 많을 텐데요. 변기에 버리거나 쓰레기통에 던지는 건 절대 금지! 잘못된 폐의약품 처리는 환경 오염과 건강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의약품 버리는 법을 약국과 보건소 기준으로 쉽게 정리하고, 약물 오염 사례까지 알려드릴게요.
왜 폐의약품 처리가 중요한가?
폐의약품은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사용하지 않는 약을 뜻합니다.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설문에 따르면, 55.2%가 쓰레기통이나 하수구에 약을 버린다고 답했지만, 약국이나 보건소로 반환하는 비율은 8%에 불과했어요. 약 버리는 방법을 모르면 토양과 수질 오염, 심지어 생태계 교란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인가구는 소량의 약을 자주 처분해야 하므로, 올바른 폐의약품 처리 방법을 알아두는 게 필수입니다.
폐의약품 버리는 법: 이렇게 하세요!
폐의약품 버리는 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핵심은 약을 포장 상태 그대로 처리하는 거예요. 포장을 벗기거나 약을 꺼낼 필요가 없습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 해보세요:
- 알약 (정제형): PTP 포장(플라스틱과 알루미늄 포장) 그대로 배출. 겉 종이 포장만 제거하세요.
- 가루약: 포장지 개봉하지 말고 그대로 배출.
- 물약: 마개를 잘 잠근 뒤 용기째 배출.
- 연고: 마개를 잠그고 용기 그대로 배출. 종이 박스는 제거.
주의: 건강보조식품(홍삼, 비타민 등)은 폐의약품이 아니에요. 약국 수거함에 버리지 말고 일반 쓰레기로 처리하세요.
폐의약품 수거 장소: 약국과 보건소
폐의약품은 약국 폐의약품 수거 또는 보건소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면 됩니다. 전국 약국과 보건소 대부분이 수거함을 운영하지만, 모든 약국이 참여하는 건 아니니 방문 전 전화로 확인하세요. 서울시의 경우, 구청, 주민센터, 복지관 등 516개소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설치돼 있어요. 스마트서울맵(https://map.seoul.go.kr)에서 가까운 수거함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부 폐의약품 정책에 따라 지자체별 수거 체계가 강화되고 있어요. 환경부 공식 사이트(https://www.me.go.kr)에서 지역별 폐의약품 수거 정보를 확인하세요.
절대 버리면 안 되는 곳
다음 장소에 약을 버리면 환경과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쓰레기통: 약 성분이 토양에 스며들어 생태계를 교란.
- 변기/하수구: 항생제나 호르몬 약물이 하천으로 유입돼 수생 생물에 악영향.
- 일반 재활용: 폐의약품은 소각 처리해야 하므로 재활용 불가.
특히 변기에 약을 버리는 건 절대 금지! 약물 오염으로 물고기 번식이 어려워지거나 독수리 개체수가 감소한 사례가 보고됐어요.
약물 오염: 환경과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
잘못 버려진 폐의약품은 심각한 약물 오염을 일으킵니다. 실제 사례를 살펴볼까요?
- 피임약 성분(합성 에스트로겐): 호수에 저농도로 노출되면 물고기 번식 장애 발생.
- 소염제(디클로페낙): 독수리 개체수 감소 원인으로 지목.
- 항불안제(옥사제팜): 어류 행동 변화 유발.
- 항생제: 다제내성균 확산으로 인간 건강 위협.
이런 문제는 결국 우리가 마시는 물과 식수로 돌아옵니다. 1인가구 약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환경과 건강에 부메랑이 될 수 있어요.
1인가구를 위한 팁
1인가구는 약 처분량이 적어 약국 방문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요. 다음 팁을 참고하세요:
- 근처 약국에 전화해 약국 약 폐기 서비스 확인.
- 동주민센터나 아파트 수거함 이용(스마트서울맵 활용).
- 소량이라도 정기적으로 처리해 약 쌓임을 방지.
지금 행동하세요!
폐의약품 처리는 어렵지 않습니다. 약 버리는 방법을 알았다면, 지금 가까운 폐의약품 수거함을 찾아보세요.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내 근처 폐의약품 수거함 찾기'정보(다양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 수신료 환불받는 조건과 신청 절차 (5) | 2025.05.15 |
---|---|
중고거래 후 계좌 지급정지 신청 방법 (0) | 2025.05.15 |
정부지원 무료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법 (국민건강보험) (1) | 2025.05.14 |
간이대지급금 신청방법 (퇴직 후 또는 재직 중 임금 못 받았을 때) (0) | 2025.05.14 |
층간소음 고지 방법 & 실내 측정기 사용법 (2)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