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자 사는 사람 전기요금 할인받는 법 (2025년 기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공공요금 절약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은 매달 나가는 고정비용이라 부담이 클 수 있는데요. 1인 가구도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사회배려대상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 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전 고객센터와 정부24를 활용한 신청 방법, 주의사항, 갱신 팁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인 가구 전기요금 할인,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전기요금 할인 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사회배려대상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제공됩니다. 아래는 주요 자격 요건입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는 월 16,000원(여름철 20,000원) 한도 내에서 할인.
- 차상위계층: 차상위자활근로자, 장애수당 수급자 등은 월 10,000원(여름철 12,000원) 한도 내 할인.
- 사회배려대상: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등은 별도 기준에 따라 할인.
특히 1인 가구는 세대분리 여부가 중요합니다. 부모님과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지에 있다면 자격 요건을 충족해도 할인을 받지 못할 수 있으니, 1가구 1계약 원칙을 확인하세요.
한전 고객센터로 전기요금 할인 신청하기
한국전력공사(한전) 고객센터를 통해 전기요금 할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단계별 절차입니다:
- 한전 고객센터 접속: 한전 공식 사이트(home.kepco.co.kr) 또는 한전ON 앱을 이용하세요.
- 회원가입/로그인: 개인 정보로 로그인 후 ‘복지할인 신청’ 메뉴를 선택합니다.
- 자격 확인: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를 제출합니다. (정부24에서 발급 가능)
- 신청 완료: 신청 후 1~2주 내 할인 적용 여부를 문자로 안내받습니다.
팁: 한전ON 앱은 모바일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하며, 신청 화면 캡처를 저장해두면 나중에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정부24로 자격 확인서 발급받기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는 정부24(www.gov.kr)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절차입니다:
- 정부24 사이트 접속 후 로그인(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필요).
- ‘민원 서비스’ → ‘복지’ → ‘기초생활수급자 확인서’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검색.
- 신청 후 즉시 발급 가능하며, PDF로 다운로드해 한전 고객센터에 제출.

[그림 2] 정부24에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화면
신청 주기와 갱신 팁
전기요금 할인은 보통 1년 단위로 갱신해야 합니다. 아래는 갱신 시 유의사항입니다:
- 자격 유지 확인: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자격이 유지되는지 매년 점검하세요.
- 알림 설정: 한전ON 앱에서 갱신 알림을 설정하면 깜빡 잊을 일이 없습니다.
- 서류 준비: 갱신 시 확인서를 다시 제출해야 하니 정부24에서 미리 발급해두세요.
주의사항: 1가구 1계약과 세대분리
전기요금 할인은 1가구 1계약 원칙을 따릅니다. 세대분리 시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등록상 독립 가구로 등록되어야 합니다.
- 세대분리 후 전기 계약 명의도 본인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부모님과 같은 주소지라면 할인 적용이 제한될 수 있으니, 한전 고객센터(123)로 문의하세요.

마무리
혼자 사는 1인 가구도 전기요금 할인을 통해 공공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사회배려대상이라면 한전 고객센터나 정부24를 통해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이 글을 통해 전기요금 감면 신청이 한결 쉬워졌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은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정부24 헬프데스크로 문의하세요.
정부24에서 자격 확인서 발급받기!'정보(다양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스장 등록 시 꼭 확인해야 할 환불 규정 3가지 (3) | 2025.05.20 |
---|---|
온라인 쇼핑몰 자동 결제 해지 못 찾을 때 해결법 (0) | 2025.05.20 |
전세 계약서 작성 시 빠뜨리기 쉬운 항목 (3) | 2025.05.19 |
에어컨에서 이상한 냄새 날 때 원인 3가지와 해결법 (1) | 2025.05.19 |
병원 영수증 분실? 국민건강보험 처리와 대처법 완벽 정리 (2) | 2025.05.19 |